▲ 부천자생한방병원 서지연 원장

[부천신문] 반월상연골은 좌우 무릎 관절 중간에 위치한 반달모양의 연골 조직으로 초승달 모양의 연골 2개가 각각 한 쌍을 이루고 있으며 각각  '외측 반월상연골', '내측 반월상연골'이라고 한다.  

반월상연골은 무릎의 원활한 움직임을 돕는 쿠션 역할을 하며 관절 사이에서 완충 작용을 하고 체중이 위에서 아래로 전달될 때 관절 연골이 손상되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해준다. 

반월상연골 파열은 일반적으로 격렬한 운동 중 외부의 강한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50대 후반에서 60대 중반의 중년층에서는 퇴행성관절염이 어느 정도 진행돼 있는 경우, 갑작스럽게 반월상연골판 뒤쪽이 끊어지면서 파열이 많이 발생한다. 

또한 중년 여성들은 쪼그려 앉거나 무릎을 많이 구부리는 가사 일을 오랜기간 지속해오면서 내측 반월상연골판 뒤쪽이 파열되는 경우도 있다.

반월상연골 파열은 방사형, 양동이 손잡이형, 앵무새 주둥이형, 수평형, 후방 골기시부 파열 및 퇴행형 파열이 있다. 

증상으로 통증이 여러가지 양상으로 나타나며 급성기에는 관절 내 출혈 및 삼출액의 증가로 극심한 통증이 나타난다. 

부상 직후에는 동통이 심하여 보행이 힘들거나 파행, 이상음을 동반한 운동 장애 등 운동에 제한이 나타날 수 있으며 슬관절 굴곡 및 신전에 특히 제한이 된다. 
또한 무릎에 힘이 빠지는 등 불안정하고 무력해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대퇴사두근의 위축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무릎 주변이 붓거나 압통이 있을 경우, 혹은 갑자기 무릎에 힘이 빠지면서 넘어질 것 같은 느낌이 있거나 계단을 내려올 때 통증이 심화되면 반월상연골 파열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반월상연골 파열은 일차적으로 전문의 문진을 비롯해 무릎의 기능 검사, 단순 방사선 촬영을 하고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MRI 촬영을 통해 진단이 가능하다. 

손상 정도에 따라 보존적 치료부터 수술적 치료까지 고려해 볼 수 있다. 한 번 찢어진 연골판은 저절로 붙지 않으며 연골판이 어떤 위치에서 얼마나 파열됐는지 환자가 느끼는 증상과 나이를 고려해서 손상이 심할 경우, 보통 연골판의 2/3 이상이 파열되었을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무릎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 운동 전 충분한 워밍업 단계가 필요하며 힘들이지 않고 가볍게 땀을 흘리는 정도의 조깅이나 가벼운 스트레칭 혹은 저항운동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스트레칭을 통해 유연성을 키워 근육과 건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대표적인 스트레칭으로 누워서 깍지를 낀 양손으로 다리의 정강이를 잡고 손을 가슴 쪽으로 천천히 당겨주는 운동과 의자에 앉아 허리를 곧게 편 상태에서 무릎을 굽혔다 폈다 하는 무릎 진자 운동 등이 있다. 


부천자생한방병원 032)320-8813
부천시 원미구 부일로 191번길 17(상동)

저작권자 © 부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