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성과를 현장에서 직접 느낄 수 있어야 의미 있는 정책

 

 

“남은 임기 1년, 자강불식(自强不息) 하겠습니다”

(*자강불식 : 하늘의 운행이 쉬지 않는 것처럼, 스스로 힘쓰며 쉬지 않고 굳세게 행함)

 

주민직선 2기 취임 3주년을 맞은 김상곤 교육감이 도교육청 직원 전체가 모인 자리에서 ‘남은 임기 1년, 최선을 다하겠다’는 다짐을 하며, 경기혁신교육 성공을 위한 결연한 실천 의지를 밝혔다.

 

김 교육감은 1일 아침, 대강당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2009년 당선과 2010년 재선은 단순히 선거운동의 결과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에 대한 우리 사회의 열망이 낳은 시대의 결과물”이며, “혁신교육 정책 또한 특정인의 아이디어가 아니라 대한민국 교육의 희망을 꿈꾸어 온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의 결정체”라고 정의했다.

 

따라서 “획일적 입시경쟁교육 등 우리 교육의 고질적 병폐를 뛰어넘는, 학생과 학부모가 행복한 즐겁고 안전한 학교, 협동·협력, 평화와 인권, 공공성과 청렴성이 살아있는 ‘선진교육’ 실현을 자신과 경기도교육청에 주어진 시대적 과제로 삼고 일해 왔다”고 강조했다.

 

김 교육감은 남은 임기 1년 동안 집중할 핵심과제로, 혁신학교 시즌Ⅱ 성공, 학교폭력 근절, 교권 보호, 역사교육 강화 등 네 가지를 제시했다.

 

‘경기교육의 최종목표는 혁신학교가 아니라, 혁신학교에서 수행한 성공적인 사례 확산을 통한 학교혁신’임을 강조한 김 교육감은 교육공동체의 자발적 학교혁신 노력으로 이루어지는 혁신학교 시즌 Ⅱ 사업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학교폭력 문제에 대해서도 김 교육감은 “대통령까지 직접 나서도 학교폭력이 쉽게 잡히지 않는 것은 엄벌과 신고제만으로 해결될 수 없는 문화와 구조의 문제임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학급·학교 공동체를 복원시키고 회복적인 생활지도를 통한 긴 호흡의 근본적인 폭력근절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며, ‘어떠한 어려움이 있어도 경기교육에서 학교폭력만은 기필코 막기 위해 모든 힘을 다할 것’임을 밝혔다.

 

김 교육감은 또한, 교권을 침해한 학부모를 실형에 처한 지난 25일 창원지법 판결에 대해 “교권침해의 심각성에 대한 우리 사회에 경종을 울린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교권은 단순히 교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우리 학생들을 제대로 가르치기 위한 전제”이기 때문에, “교권을 위해하는 억지와 이기적 민원이 경기교육에서 난무하는 것은 절대로 있어서는 안될 일”이라며, “남은 1년, 교권 지키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재차 다짐했다.

 

김 교육감은 마지막으로 역사교육을 강조했다. “집중이수제 등으로 5천년 역사를 한 두 학기에 스쳐가는 뚝딱 마무리하는 식의 현재 역사교육으로는 나라와 민족의 정체성을 기를 수 없다”고 말하고, ‘사건 사고에 대한 암기과목이 아닌 역사의식과 인식을 공유하는 역사교육 강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육감의 이러한 언급은 최근 시국선언교사 징계유보에 대한 직무유기 사건이 대법원에서 최종적으로 무죄판결로 확정되고, 무상급식을 비롯한 교육복지 정책, 학생인권조례와 평준화 등 정치사회적 논란을 거듭한 핵심공약 등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수행되고 있다는 판단 속에서 이제는 교육현장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교육정책에 좀 더 집중하겠다는 뜻으로 여겨지는 대목이다.

 

 

김 교육감은 최근 우리 사회 전체의 논란이 되고 있는 ‘국정원 선거 개입 의혹’과 관련한 자신의 생각을 밝히기도 했다.

 

“사회는 초중등교육의 일차적 체험학습의 장(場)”이므로, “정치적 중립을 훼손하는 것으로 밝혀지는 행위에 대해서는 초중등 학생의 건강한 교육을 위해서도 정치권과 사법기관에서 반드시 정의롭게 해결해야 한다”며, “국민에 의해 통제되지 않는 권력은 국민을 죽이는 독약”이 될 수도 있음을 경계해야 한다는 발언도 덧붙였다.

 

김 교육감은 ‘소통과 공감’은 시대의 화두임을 강조하고 이를 위한 공동의 노력을 당부하면서 어느 선생님으로 받았다는 글을 공개했다. 대략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김상곤 교육감과 경기도교육청이 지난 4년간 우리 교육을 바꾸기 위한 미래지향적인 정책들을 제시하면서 교육개혁을 주도해 왔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를 비판하는 사람들이 제기하는 문제점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단순한 대응이 아닌 그 반대를 뛰어넘는 시기적절하고 구체적인 해결안들을 제시해 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교육정책으로 교육현장의 고충이 해결되고 있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해주십시오. 무엇보다 밑에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많이 들으셔야 합니다. 개혁의 부작용이 반드시 있는데, 그런 것을 함께 고민하는 모습이 있어야 합니다. 그 고민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요. 그 사람들과 만나셔야 합니다. 잘 나가고 있을 때는 남의 소리가 안 들릴 수 있어요. 지금 정도에서 사람이 바뀔 수 있거든요. 현장의 목소리를 많이 듣고, 작지만 해결해나가는 모습이 필요합니다. 혁신학교도 잘되고 있는 데만 가시지 말고, 혁신학교도 잘 안 되는 데를 가서 사람들을 만나야 합니다.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들어봐야 합니다’

 

김 교육감은 마지막으로 “교육혁신, 학교혁신의 성과를 현장이 직접 느낄 수 있을 때에만 교육정책이 의미있다”고 말하고, 따라서 자신부터 “남은 임기동안 더욱 열심히 교육현장과 학부모, 그리고 시민사회를 찾아가서 그들의 목소리를 경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부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